[포켓몬 카드게임] 2024.12.01.(일) 범계 트레이너스 포켓몬 주말 리그


범계 트레이너스 포켓몬 주말 리그에 참가했습니다.
사용 덱은 드래펄트ex+야느와르몽입니다.
성적은 3전 1무 2패입니다.
전승하고 싶었는데, 전승은커녕 전패를 겨우 면한 수준이네요.

  • 1회전: Vs. 삼삼드래ex, 후공, X
  • 2회전: Vs. 리자몽ex, 선공, X
  • 3회전: Vs. 야느와르몽 컨트롤, 후공, △
  • 4회전: 부전승

덱 구축

이전에 사용했던 덱(https://nelpsos.blogspot.com/2024/11/20241115.html)에서 신오신전을 빼고 오기머리띠를 한 장 추가했습니다.
그런데 오기머리띠를 활용할 수 있는 운영을 하지 못해서 굉장히 아쉽네요.
밤의 들것은 2장 있어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고, 오히려 포켓몬 교체가 없어서 운영이 말린 적이 있어서 포켓몬 교체를 다시 1장 추가하려 합니다.

배틀 로그

  • 1회전: Vs. 삼삼드래ex, 후공, X

프라이즈에 야느와르몽 1장이 간 상태였습니다.

상대방의 삼삼드래의 1번 기술(크래시헤드: 위력 200, 상대의 덱에서 3장을 트래시한다.) 2회 사용으로 인해 미라몽, 밤의 들것, 야느와르몽이 트래시되어버렸습니다.
그래서 미리 벤치에 두었던 해골몽이 의미가 없어졌는데, 덱 서치 이후(야느와르몽이 덱에 없는 것을 알고도) 하이퍼볼로 야느와르몽 회수를 시도하는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결국 삼삼드래 2번 기술(옵시디언: 위력 130, 상대 벤치 포켓몬 2마리에게도 각각 130대미지를 준다.)로 해골몽, 싸리용, 드래펄트ex가 동시에 기절해 4프라이즈를 가져가고, 경기가 종료되었습니다.

실수하지 않았다고 이길 수 있는 게임은 아니었던 것 같지만, 그래도 실수는 실수입니다.
실수를 줄이고 싶네요...


  • 2회전: Vs. 리자몽ex, 선공, X


첫 핸드에 잡힌 해골몽을 배틀필드에 내려놓고 배틀이 시작되었습니다.

2턴에 페퍼를 사용했는데, 일단 해골몽이 배틀필드에 있으니 긴급 보드를 가져와서 해골몽을 치울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상대방 배틀필드에 삐가 있어서, 삐를 손에 이미 있는 미라몽의 커스 봄으로 치우려고도 함께 생각했습니다.

간단히 생각해보면 미라몽의 커스 봄을 사용하면 기절하며 자연스럽게 벤치의 드래펄트ex를 배틀필드로 내보낼 수 있었는데, 긴급보드를 붙이고 나서 알았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실수한 뒤, 정말 바보같이 "음... 드래펄트ex의 스펙터다이브 200과 커스 봄의 130을 합하면 330이군... 딱 맞군..."이라고 생각하며 드래펄트ex의 스펙터다이브와 야느와르몽의 커스봄으로 상대의 리자몽ex와 벤치의 구구까지 기절시켜서 4프라이즈를 확보...하는 오판을 저질렀습니다.

당연하게도 리자몽ex는 버닝다크의 효과 때문에 미리 프라이즈를 확보하는 것보다 드래펄트ex의 최대의 장점인 높은 체력과 대미지 누적을 통한 한 방 프라이즈 3~4개 확보로 이기는 것이 좋습니다.

정말 완벽한 오판이었죠.

그나마 단 하나의 희망이 있었는데, 리자몽ex의 버닝다크는 프라이즈 4장을 가져갔을 때 300 대미지이기 때문에 드래펄트ex의 320체력을 전부 깎지 못한다는 점이었습니다.
물론 그 희망은 페퍼로 가져온 오기머리띠로 꺾이고 말았습니다.

운영 오판 없이 드래펄트ex 위주 운영에 집중하고 야느와르몽은 마무리 공격용으로만 활용했다면 승리할 수 있었을 것 같네요.



  • 3회전: Vs. 야느와르몽 컨트롤, 후공, △


상대 덱이 처음 접하는 타입이라, 첫 몇 턴 동안 약간 해멨습니다.

야느와르몽을 활용하여 따라큐를 전부 제거하면 유리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상대의 커스 봄 - 리버스 에너지 - 뉴트럴센터 콤보로 제 드래펄트ex가 너무나 쉽게 제압됐습니다.

이후 프라이즈 1:1, 패 1:1의 팽팽한 상황에서 제 로토무V의 즉석충전으로 3장의 패를 보충했으나, 상대방의 커스 봄으로 인해 양측의 프라이즈가 동시 소진되어 무승부로 종료되었습니다.

(커스 봄으로 벤치킬을 당한 쪽이 패배, 양측이 배틀필드에 낼 포켓몬이 있다면 무승부로 처리)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몬스터헌터 와일즈] 광룡증을 알아보자 (feat. 흑식일체, 무아지경, 식공복장)

[엘든 링 밤의 통치자] 집행자 요도(히나타츠카미) 유물 분석

[몬스터헌터 와일즈] 역습을 알아보자